This message was deleted.
# 질문
s
This message was deleted.
h
다른 방향으로는 아래 라이브러리로 우선 개발 후 Concurrent Mode가 안정적으로 릴리즈 된 후 `react-relay/hook`에 있는 Hook으로 변경하는 방향도 생각중에 있습니다. https://github.com/relay-tools/relay-hooks
h
안정성 문제라고 하시면 좀 넓은 주제가 될 거 같은데 yarn 쓰고 버전 락만 잘 걸면 크게 문제는 없습니다. 중간에 브레이킹 체인지가 수시로 있어서 잦은 업데이트는 어랴울 수 있어요
컨커런트 모드 자체는 큰 말썽 없고요. 라거시 api 를 쓰는 라이브러리들을 미리 strict mode 로 거르시는걸 권장합니다. 예를들면 helmet 이라던가..ㅡ
Hook만 원하시는거면 뒤에 언급하신 relay hooks 쓰샤도 무방합니다. Relay experimental 은 빌딩 블럭이 완전 다른 개념을 다루고 있어서 학습곡선이 상당하거나 불필요한(너무 이른) 최적화 때문에 고민하게 될 수 있습니다.
버전락 뿐만 아니라 resolutions 를 강제로 주셔야 함
h
@Hyeseong Kim 답변 감사드립니다. 조금 더 테스트 해보고 문제가 없다면 Concurrent Mode를 사용하는 방향으로 해봐야겠네요. 혹시 말씀해주신 부분 중
Relay experimental 은 빌딩 블럭이 완전 다른 개념을 다루고 있어서
이 부분에 대한 내용은 어디서 알아볼 수 있을까요? 개인적으로 공부가 필요하다고 생각이 되어서요.
Relay experimental API 레이아웃 살펴보시고 비교해보시면 됩니다
컨커런트 모드가…. 역사가 좀 길어요. fiber architecture 보다 이전에 나온 제안이라
맥락은 방대한데 최근에 또 갈아엎고 새 컨셉 만들고 있는 와중이라
음 “프로덕션에서 쓴다” 가 좀 저랑 관점이 다르실 것 같은데.. 권장은 못드리겠습니다 솔직히
저는 삽질하면서 좀 써보긴 했거든요 지금 쓰기에 문제가 없지도 않고 미래에 이 모양 그대로 갈 것 같지도 않고
페이스북의 대부분의 experimental api 들은 프로덕션에서 돌고있는 코드라고 합니다. 매번 갈아엎는지 적당히 추출하는건지 뭔지 몰라도 이런 변경을 다루는데 문화적인 차이도 클 것 같아요
외부에서 그거 따라다니기에 조금 지치는 감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 팀의 리액트 이해도를 완전 깊게 한다거나 큰 라이브러리 하나 빌딩하는게 목표라면 추천드릴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뭐 어떤 상황에 있으신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요 (팀 규모, 제품 규모, 고객 특성, GraphQL 사용 경험, 패턴 등) 토이로 돌려보시는건 좋아요 재밌어요 ㅋㅋ
t
저는 relay-hooks 쓰고있어요 ㅎㅎ
h
사실 Facebook 발표 보면 concurrent ui pattern 도 반쪽짜리라는걸 알 수 있죠
리액트 한 10배 쯤 어려워질 예정
h
자료 감사합니다. 알려주신 자료는 공부해봐야겠습니다. 말씀해주신 부분들을 고려해봤을때, 아직 위와 같은 수준의 변경사항에 대해서 빠르게 Tracking 할 상황이 되지 못하네요 ㅎㅎ
h

https://youtu.be/Iyrf52cwxQI

제일 중요한 리소스 중 하나를 빼먹었네요
❤️ 1
구현체는 react의 scheduler 패키지 와칭하시면 되고, 리액트랑 다른 프레임워크들을 구분짓는 아주 중요한 요소
어... graphql 얘기가 어쩌다가 일로왔지
zzzz 2
h
@Hyeseong Kim // 제가 관련 맥락을 잘 모르는데 React CM UI pattern이 반쪽짜리 라는것 관련해서 레퍼런스나 자료좀 받을 수 있을까요?
그 발표가 뭔지 잘 모르겠어서...
h
F5요
그리고 dan 트위터...?
한참 뒤져봐야 돼서 있다가 밤에...
h
넵~ 감사합니당
h
Roam에 백업을 안해둠
참고로 "서버"가 빠져서 반쪽짜리라는 의미였습니다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