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message was deleted.
# 질문
s
This message was deleted.
t
흠… 혹시 로그인은 JWT를 localStorage에 담는 등의 클라이언트 기반 토큰을 쓰시나요 아니면 쿠키/세션을 쓰시나요?
@delay.dev
d
JWT 토큰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답변 감사해용~!
토큰이 없을 떄 유저 정보를 가지고 오면 서버에서 권한 에러를 내니까 계속 에러 바운더리로 가더라구요
이걸 좀 나이스하게 핸들링 해보고 싶은데 어렵네요
t
Copy code
// 스키마
type Query {
  viewer: User
}


const query = useFragment(graphql`
  fragment Something_query on Query {
    viewer {
      id
    }
  }
`)

if (!query.viewer) {
  // ...
}
요렇게 처리할수"는" 있을텐데요. 로그인 여부는 일종의 클라이언트 상태에 가까울것같아서, Relay 클라이언트의 캐시를 사용하는것보다 일반적인 전역 상태를 사용하는게 더 간편하고 용도에 맞을거같아요. • Relay는 유저로부터 초래된 "상태"라기보다는 • 리모트 데이터를 캐시하고 변경을 전파하는 "데이터 레이어"라고 저는 봐요 ㅎㅎ
여기서 말하는 상태는 Finite State Machine의 그 State 입니다 ㅎㅎ
d
@Tony Won 좋은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하신대로 사용자 상태를 데이터 레이어에서 분리하는게 좋겠네요! 한꺼번에 쓰려니까 개념이 혼재되었던 것 같아요. 감사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