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message was deleted.
# 클럽-프론트엔드
s
This message was deleted.
h
프로젝트마다 조금씩 달라요. CMS 의 요구사항은 컨텐츠의 종류와 좀 밀접하게 연관이 있어서
j
아하..답변 감사합니다! 당근은 공개해주신 소스를 봤을때 prismic을 쓰신거로 보이는데 혹시 특별한 이유가 있으셨을까요? 저희도 사용목적이나 요구사항이 비슷할것같은 상황이라 궁금하네요 (혹시 답변이 어려우신 부분이면 어렵다고 해주셔두 됩니다ㅋㅋ)
h
으으으음
CMS 의 모델링 기능이 어떤가가 좀 주요한데요.
Prismic 의 모델링 기능은 상당히 느슨한 문서 형식인데 이게 웹사이트 컨텐츠 관리하는데는 더 낫다고 봐서 선택했습니다.
그러지 않은 경우 예를 들면 뭐 Strapi 같은 도구를 선택했을 경우, API 통합 난이도는 많이 쉬울지언정 최종 컨텐츠 표현과 에디터 제약의 거리가 멀어서 여러 패스로 통합하게 되는데 이게 생각보다 과정이 복잡하고 인지비용을 키워요
에디터가 실제 컨텐츠랑 비슷하게 표현 가능할 수록 컨텐츠 퍼블리셔와 지속적으로 소통하기 좋습니다
물론 컨텐츠가 지속성이 필요하지 않다면 별 의미 없는 고민일테고요
다만 스키마가 느슨하게 정의되는거만큼 통합에 어려운 지점이 생기는데 이건 Gatsby 가 ㅁ많이 해결해주는 편입니다
실제로 PoC 구축하고, 컨텐츠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이 먼저 사용해보길 권장합니다
컨텐츠를 기획하는 사람의 참여가 상당히 중요하고요
예전에 남긴 이 주제에 대한 커멘트인데.. https://twitter.com/KrComet/status/1325164737932357634
뭐 암튼 저희도 지금 상당히 많은 컨텐츠 Prismic 으로 관리하지만 그게 전부로 생각하긴 또 어려워요. 예를들면 채용공고 관련 컨텐츠나 폼은 전부 Greenhouse 에서 관리됩니다.
j
만들고나서도 개발단에서만 지속적으로 관리하는게 아닌만큼 앞서서 검증이 필요하긴 하겠네요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h
네 개발자용 도구가 될거 같으면 그전에 그게 그냥 단발성 마크업치는거보다 나은게 맞는지 의문이 먼저 생기는게 맞습니다.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