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iNiHa
03/28/2024, 10:51 AMSNUPI o
04/02/2024, 7:00 AMXiNiHa
04/02/2024, 7:01 AMSNUPI o
04/02/2024, 10:00 AMXiNiHa
04/02/2024, 10:37 AMXiNiHa
04/02/2024, 10:40 AMSNUPI o
04/03/2024, 12:07 AM응답 데이터와 errors 값을 적절히 연결지어서 똑똑하게 에러 처리를 해 주어야 한다저도 이게 그래프큐엘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인 것 같습니다🫠 아시다시피 "에러가 나서 null이 된 것인지를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지"에 대한 답은 결국에 error가 null인지 아닌지로 판별을 할 수 있으니까 말이죠 결국에는 컨벤션을 어떻게 잘 짜느냐가 가장 중요할 것 같은데요, 저희는 그래서 각 에러상황에 따른 error, 또는 특정 상황에 필요한 특정 error 필드까지 추가적으로 넣어서 "어떤 error 값이 있으면 어떤 error 상태를 표시한다" 와 같은 컨벤션을 도출해서 정리해두었어요. 결국 클라이언트에서 data보다 error 먼저 확인하여 판별하는 에러처리 로직을 추상화해둔다면, 높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컨벤션을 다 맞춰서 에러를 반환해주는 백엔드의 역할도 굉장히 중요할 것 같아요 하하)
Hyeseong Kim
04/03/2024, 1:30 PMHyeseong Kim
04/03/2024, 1:32 PM